그래픽9 [TA STUDIO] #1. '쉐이더'를 이용한 '이펙트' 기초 (포스트 프로세싱: bloom 효과) 본 포스팅은 청강문화산업대학교의 게임 제작 동아리 L.A.B.S의 TA STUDIO에서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#쉐이더? 그게 뭔데? 익숙하지만 생소한 단어. 쉐이더. 많이 들어봤지만, 정확히 뭐다- 라며 정의내리기는 쉽지 않죠. "그거 그... 게임 때깔 이뻐지는... 그런 거 아냐?" "마인크래프트 쉐이더?" ...이대로 넘어가면 문제가 있겠죠? 게임 개발자들의 신적 존재이자 영원한 친구. Google에게 물어봅시다. 헤이 구글, 쉐이더가 뭔지 알려줘! Shader[셰이더]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 셰이더(shader)는 소프트웨어 명령의 집합으로 주로 그래픽 하드웨어의 렌더링 효과를 계산하는 데 쓰인다. 셰이더는 그래픽 처리 장치(GPU)의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렌더링 파이프라인을 프.. 2019. 10. 4. [디지털 페인팅] 날개 - 모작 및 창작 본인 작업: 원본 레퍼런스: Kudo Artist (Sahil Bhardwaj) [ https://www.artstation.com/artwork/w8v5gZ ] 2019. 9. 30. [디지털 페인팅] 유리병 - 모작 본인 모작: 유리병 2는 나름 잘 나왔다구 생각해서 뿌듯했음! 그러나 피드백 시간 때, 유리병의 어둠이랑 마개의 어둠이 따로 놀고, 병 입구의 밝음-어둠 단계가 덜 보인다구 하셨다. 왜 들으니까 보이는 것이냐. 다음부터는 더 유의해서... 그려봐야지... 원본 레퍼런스: 2019. 9. 30. [디지털 페인팅] 풀 - 모작 본인 모작: 원본 레퍼런스: Shin jong hun / Huni artist [https://www.artstation.com/artwork/DxL2Ne] 2019. 9. 30. 이전 1 2 3 다음